목차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최근 워드프레스 3개의 계정(총 6개중) 의주로 워프 + 티스토리 를 통하여
모든계정 일 100불을 처음으로 넘어보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워드프레스 관련 질문을 많이해서 제 생각을 한번 적게 되었습니다.
워드프레스를 시작하게되면 가장 많이 힘들어하는 부분을 한번 생각을 해봤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가장 힘든 부분
- 테마 마다 알맞는 플러그인이 조금씩 다르다.
- 테마가 좋아보이면, 어디 다른게 조금씩 안된다.
- 커스터마이징이 조금 아쉽다.
- 결국 검색하다보면 코딩을 알아야만 하는지 고민이 된다.
여기서 제가 생각하는 정답은.. 미리 큰 틀을 잡아야 한다 입니다.
- 포스트
- 페이지
- 카테고리
이 3개가 저는 가장 큰 틀이라고 생각합니다. 위 3개의 틀을 세팅을 하고 글을 쓰면 같은 방식으로 들어갈수 있게 해야 합니다.
티스토리로 예를 들면 – 한 테마를 고르면, 메뉴, 사이드바, 글 형식은 일정하게 되어있는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워드프레스에서도 이부분을 처음에 세팅을 해주셔야합니다. 페이지별로, 포스트별로 세팅이 안되어 있으면, 나중에 플러그인, 또는 테마에서 많은 코딩 부분이 겹쳐 안되는게 많습니다.
자세히 말하면, 어떠한 테마를 골랐을때, 안되는 부분은 과감히 포기를 먼저 해야합니다.
그리고 2번째 해야할것들은, 내가 글만 쓰면 알아서 돌아가게끔 만들어야합니다.
제가 워드프레스를 하면서 이부분이 가장 어려웠습니다.
초보 분들은 처음에 페이지와 포스트의 차이? 이게 차이가 있나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솔직하게 사용하기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워드프레스라는 곳에서 조금 다르게 인식합니다.
어떻게 인식을 하느냐??
포스트는 글을 쓰게 되면, 페이지 와는 다르게 자동적으로 같은 그룹끼리 들어가게 됩니다.
같은 그룹이란 – 카테고리, 태그
예를들면, 같은 카테고리로 설정해 글을 계속 해서 쓰게 되었을때, 그 카테고리를 들어가게 되면, 포스트가 최신순으로 정렬이 됩니다. 하지만 페이지는 그렇지 않습니다. 페이지는 1페이지, 1페이지 각각 다르게 작동을 하고, 포스트는 그룹별로 한꺼번이 작동을 합니다.
그러니, 페이지로는 각각의 페이지, 예를 들면 – 메뉴 부분에 있는 홈, 로그인 페이지, 로그아웃페이지가 될수 있습니다.
그럼 포스트 세팅은 어떤게 필요할까요?
포스트에서는 간단합니다. 사진의 크기, 그리고 H1,과 같은 제목 사이즈 설정만 잘하면서 글을 쓰시며 됩니다.
마지막 카테고리 세팅
이부분은 크게 수정할게 없습니다. 한번 세팅하고 포스팅작성시 옆에 카테고리 클릭하면 자동으로 그 카테고리 목록에만 글이 보이게 됩니다. 중복도 가능하게 보일수 있구요. 저는 이 포스트안 카테고리를 항상 메뉴에 넣습니다. 그러면 자동적으로 글이 카테고리를 찾아 올라가게 되니깐요.
정리해서 말하면, 내가 원하는 테마를 고르고, 페이지 – 홈, 로그인 이정도 만들어주시고, 포스트 부분세팅 하고 글쓰면서 카테고리 생성하면 됩니다. 그리고 메뉴에 카테고리 부분을 넣고, 카테고리 부분 내가 최대한 원하는 모양으로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래서 테마를 고를때 – 저는 포스트 부분, 페이지 부분, 카테고리 부분이 얼마나 수정이 될수 있는지 내가 마음에 드는지 첫번째로 확인을 하고, 그 다음은 어떤 플러그인 이 필수적으로 필요한지를 체크 합니다. 다음 글은 플러그인 소개 글로 넘어가겠습니다.